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려왕 순서 간단한 업적

by 투리84 2023. 2. 28.

고려는 제 1대왕 태조왕건을 시작으로해서 34대 공양왕까지 약 반세기 475년을 이어온 왕조 입니다. 오늘은 고려왕의 순서와 간단히 업적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려왕 순서

 

1대 태조

신성대왕 918-943

 

신라 궁예의 부하로 시작하였으나 부하들에게 추대받아 송도에 수도를 정하고 고려를 세움.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29명의 아내를 거느리면서 호족을 통합함.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2000)  

2대 혜종 (왕건의 맏아들)

의공대왕 943-945

왕위 쟁탈전에 시달리다가 병사함.

945년, 왕규의 난이 일어남.

 

제국의 아침(2002) 혜종부터 광종까지의 시대상을 다룬 드라마

 

3대 정종 (왕건의 아들)

문명대왕 945-949

 

왕규의 난을 제압함.

 

4대 광종(왕건의 아들, 정종의 동생)

대성대왕 949-975

956년 노비안검법 시행.

과거제 실시

 

5대 경종 (광종의 맏아들)

지인성목명혜헌화대왕 975-981

 

976년 시정전시과 실시

 

천추태후(2009) 5대 경종부터 8대 현종까지의 시대를 배경으로 만든 드라마.

 

6대 성종 (왕건의 손자)

문의대왕 981-997

 

문물 제도의 정비

유교 숭상하며 중앙집권적 봉건제도를 확립.

 

7대 목종 (경종의 맏아들)

선양대왕 997-1009

 

998년 개정전시과를 실시.

왕의 진상 과 친족의 족보에 관한 일을 관리하는 전중성을 설치.

1009년 강조의 정변이 일어남.

 

8대 현종 (왕건의 손자)

원문대왕 1009-1031

 

1009년부터 1029년까지 개경의 외성울 건설 하였다.

1010년 거란의 두번째 침입이 있어서 개경이 함락되었다.

1010년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켰다.

1018년 거란의 3차 침입이 있었다.

1019년 강감찬이 귀주 대첩에서 승리하였다.

 

 

9대 덕종(현종의 맏아들)

광장강명선효경강대왕 1031-1034

 

천리장성을 쌓기 시작했음.

국사편찬사업을 완성시킴.

 

10대 정종 (현종의 둘째 아들)

용혜대왕 1034-1046

천리장성을 완서시킴.

 

11대 문종(현종의 셋째아들)

장성인효대왕 1046-1083

 

1049년 5품이상의 관료들에게 세습이 가능한 토지인 공음전 제도를 법제화 시켰다.

 

12대 순종(문종의 맏아들)

정헌영명선혜대왕 1083-1083

 

 

13대 선종(문종의 둘째아들)

안성사효대왕 1083-1094

고려문화의 발전을 이룸

14대 헌종 (선종의 맏아들)

정비공상대왕 1094-1095

 

15대 숙종 (문종의 셋째아들)

명효대왕 1095-1105

이자의 난을 진압한 후에 왕이 돼었다.

해동통보를 만들어 화폐제도를 시작했고,

고려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16대 예종 (숙종의 맏아들)

문효대왕 1105-1122

동북 9성을 건설 하였다.

 

17대 인종 (예종의 맏아들)

극안공효대왕 1122-1146

 

1125년 금의 군신관계 요구를 받아들였다.

1135년 묘청이 난을 일으킴

1145년 김부식에게 삼국사리를 만들게 시킴.

 

18대 의종 (인종의 맏아들)

강과장효대왕 1146-1170

 

1170년 무신의 난 (정중부, 이의방)

19대 명종 (인종의 셋째아들)

황명광효대왕 1170-1197

1176년 공주 명학소의 망이, 망소이의난 (신분해방운동)

1182년 전주 군인, 관노비의 난

1196년 최충헌 집권 (무신집권기)(1170-1259)

20대 신종 (인종의 다섯째 아들)

경공정효대왕 1197-1204

 

21대 희종 (신종의 맏아들)

성효대왕 1204-1211

 

22대 강종 (명종의 맏아들)

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 1211-1213

 

23대 고종 (강종의 맏아들)

안효대왕 1213-1259

1231년 몽고의 침입

 

24대 원종 (고종의 맏아들)

순효대왕 1259- 1274

삼별초 항쟁

25대 충렬왕 (원종의 맏아들)

경효대왕 1274-1308

1281년 삼국유사를 일연 발행함.

1287년 제왕운기를 이승휴가 발행함

26대 충선왕 (충렬왕의 아들)

충선헌효대왕 1298-1298, 1308-1313

 

27대 충숙왕 (충선왕의 둘째 아들)

충숙의효대왕 1313-1330, 1332-1339

 

28대 충혜왕 (충숙왕의 맏아들)

헌효대왕 1330-1332, 1339-1344

 

29대 충목왕 (충혜왕의 아들)

현효대왕 1344-1348

 

30대 충정왕(충혜왕의 서자)

1349-1351

1350년 왜구의 침입이 있었다.

 

31대 공민왕 (충숙왕의 둘째아들)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 1351-1374

 

친원파를 숙청함.

신진사대부를 등용함.

쌍성총관부를 수복함.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32대 우왕 (공민왕의 아들)

여흥왕 1374-1388

 

33대 창왕 (우왕의 아들)

윤왕 1388-1389

 

1389년 대마도 정벌(박위)

34대 공양왕 (신종의 손자)

1389-1392

 

1391년 조준과 정도전의 건의로 과전법이 실시됨.

1392년 이성계에게 왕위를 넘기다.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한양으로 수도를 옮김.